(경인미래신문=민경호 기자) 국민의힘 시흥시의회(이하 시흥시의회)는 한국경제 11월 3일자 '"우리 동네는 안돼"… '젠슨 황의 선물' 서울대는 못 쓸 판' 기사에 대해 "사실관계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시흥시민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시흥시의회는 6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국가적인 AI 인프라 확충 사업이 '시흥시민의 반대로 좌초 위기'라는 주장은 서울대학교의 공식 해명자료에서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방한과 GPU 26만 개 공급 계획이 발표되자마자, 일부 언론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근거로 '님비' 프레임을 씌워 시흥시민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며 "이러한 왜곡 보도 행태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시흥시의회는 "시흥시민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국가사업을 방해하는 '님비'로 낙인찍혔다"며 "이는 정부와 서울대, 시흥시민 모두를 기만한 것이거나, 그렇지 않다면 소통 부재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시흥시의회는 "시흥시민은 국가 AI 경쟁력 강화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다만 지역사회 의견을 철저히 배제한 채, 안전과 직결될 수 있는 시설의 본질이 감춰진 상태에서 추진되는 불투명한 행정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시흥시의회는 ▲시흥시민을 ‘님비’로 매도한 한국경제 등 일부 언론의 즉각적인 정정보도 및 시흥시민에게 공식 사과 ▲정부·서울대학교·시흥시의 AI 인프라 구축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흥시·시흥시의회·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공식 협의체를 구성하고 절차적 정당성 확보 등 세 가지를 강력히 촉구했다.
끝으로 시흥시의회는 "더 이상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거짓 여론에 침묵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의 정당한 알 권리를 되찾기 위해 모든 행동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대학교는 지난 5일 보도자료를 통해 "AI 교육·연구·산학을 아우르는 AI 네이티브 캠퍼스로 전환하고 국가 AI 혁신 생태계의 중심으로 거듭나고자 AI 혁신 정책 추진의 일환으로 시흥캠퍼스 AI 허브 구축에 대해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며 "현재 초기 학내 검토 단계로, 주민 등의 반대가 성립될 수 없으며 주민 반대로 사업이 차질을 빚거나 좌초됐다는 점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한 "경기도·시흥시·서울대 등 캠퍼스 부지 활용에 권리를 가진 3자가 240메가와트(㎿)급 초대형 규모로 짓기로 합의했다는 내용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기사제공 = 목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