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안동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기상청 제공

뉴스인사이드

[칼럼]대한민국 국민이 원하는 대통령의 조건 4가지

도덕성, 양방향 소통, 현실적인 정책, 갈등 해소 등
'실제로 행동하고 책임을 감당하려는 사람' 되어야

권민준 경인미래신문 용인·광주 본부장.

 

제21대 대통령선거가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대통령 후보들은 자신들만이 대한민국을 이끌어 가는 데 적임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 시선은 다가오는 대선 정국을 앞두고 다시금 대통령이라는 자리에 집중되고 있다.

 

정치는 사람의 삶을 바꾸는 일이며 대통령은 그 정치의 가장 무거운 책임을 지는 자리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단지 국가의 최고 행정 책임자일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뢰와 희망을 상징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권력의 정점에 서는 한 사람, 지금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또는 요구하는 대통령은 어떤 사람이어야 할까.

 

첫째, 국민은 대통령의 가장 기본적인 덕목으로 '도덕성'과 '청렴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수차례 반복된 권력형 비리와 가족 비위 사건은 정치 전반에 대한 불신을 키워왔다.

 

이제 유권자들은 '덜 나쁜 사람'이 아니라 '검증된 도덕성을 갖춘 인물'을 요구하며 이는 단순한 이미지가 아닌 실제 행적에서 드러나야 한다.

 

둘째, 최고의 권력을 가진 대통령이라 하더라도 일방통행식 정치는 원하지 않는다고 본다.

 

국민은 대통령의 말보다 '대통령이 듣는 태도와 실행력'에 주목한다.

 

다양한 계층과 지역, 세대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그 고통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은 현대 정치 리더십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이는 단절된 권력보다는 국민과 소통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결된 정치를 갈망하는 시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셋째, 국정 운영은 국민에게 꿈과 이상을 심어줄 수 있는 공약이 아니라 현실과의 싸움이다.

 

경제 회복, 일자리 창출, 물가 안정, 외교 등은 민생 과제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성만으로는 부족하며 구체적인 계획이 있어야 한다.

 

국민은 대통령의 정책 리더십을 절실히 갈망하고 있고 이와 같은 능력은 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실질적 능력, 복잡한 사안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넷째, 대한민국은 이념 갈등, 세대 간 대립,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 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국민의 분열은 국정의 동력을 떨어뜨리고 사회 전반의 신뢰를 해칠 뿐만 아니라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국정 운영의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장애물 속에서 기후 변화, 저출산·고령화, 디지털 전환, 교육 개혁 등 장기적 과제는 곧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으며 이는 단기 성과에 집착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민은 오늘을 넘어서 내일을 준비하는 대통령, 다음 세대까지 고려하는 대통령에게 미래를 맡기고 싶어 한다.

 

국민은 완벽한 슈퍼히어로 같은 대통령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추상적인 정책을 제시하고 자신만이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공약을 남발하는 대통령이 아니다.

 

진실한 마음으로 국가를 섬기고, 실력을 바탕으로 정책을 실행하며,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책임지는 지도자를 원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이제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실제로 행동하는 사람', '권력을 탐하는 사람'이 아니라 '책임을 감당하려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기사제공 = 목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