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쿠팡, 편리함의 그림자에 가려진 불신의 그늘

  • 등록 2025.09.14 08:15:24
크게보기

정품과 불법 상품 뒤섞인 온라인 시장… 책임은 소비자와 브랜드 몫

김진희(제니) 경인미래신문 서울 제2본부장

 

쿠팡은 소비자에게는 '편리함'의 상징이다. 클릭 한 번이면 다음날 아침 집 앞에 도착하는 로켓배송은 이미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브랜드 입장에서 쿠팡은 점점 '두려움'의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문제는 정식 유통망을 거쳐 공급하는 정품과, 불법·비공식 경로를 통해 들어온 상품들이 뒤섞여 팔리는 구조 때문이다.

 

소비자는 정품 여부를 구별할 길이 없고, 리뷰와 평점은 모두 통합돼 신뢰가 무너진다. 피해는 고스란히 정직하게 제품을 공급하는 브랜드 몫이다.

 

실제 정식 총판 계약을 맺고 제품을 유통·판매하고 있는 한 사업자는 자신이 공급하지 않은 상품이 쿠팡에서 버젓이 거래되고 있어 수 없이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돌아오는 답변은 "자율 온라인상거래 시스템이라 책임이 없다"라는 책임회피성 변명만 돌아왔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와 같은 상황은 네이버 등 다른 대형 플랫폼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지적재산권 침해를 당해도 플랫폼은 책임이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되고 있을 뿐이다.

 

여기에 더해 의료기기 광고 심의는 더욱 심각하다.

 

법적으로는 사전광고심의를 반드시 받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제품 패키지 이미지만 올려도 심의 절차를 회피한 채 판매가 가능하다.

 

광고심의를 받고 정식 마크를 부착한 제품과, 심의를 받지 않은 제품이 같은 조건에서 경쟁하게 되면서 결국, 제도를 성실히 지킨 브랜드가 오히려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한 국회의원이 "쿠팡에서 불법 의약품이 한 달 넘게 팔렸는데도 아무 조치가 없었다"고 지적이 있었지만 언제 개선될지 여전히 요원하다.

 

플랫폼의 구조적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화장품·의료기기·건강보조식품 등 다른 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브랜드가 수십 년에 걸쳐 쌓아온 가장 큰 자산인 '신뢰'가 한순간에 무너지고 있다.

 

플랫폼의 책임 회피가 지속된다면 결국 피해는 기업을 넘어 국민 전체로 확산될 수밖에 없다.

 

쿠팡은 이제 단순한 유통 채널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공공성을 책임지는 거대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그만큼 더 강한 책임 의식과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그것이야말로 브랜드와 소비자 모두를 지키는 길이다.

기자
Copyright KIFUTURE. All rights reserved.

찬성 반대
찬성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경인미래신문 | 등록번호 : 경기아52277 | 등록일 : 2019년 7월 24일 | 발행‧편집인 : 민경호 | 대표전화 : 010-7713-7948 서울지사 -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593-14 / 화성지사 - 경기도 화성시 경기대로 955 / 수원지사 - 경기도 권선구 세화로 128번길 61 / 시흥지사 - 경기도 시흥시 하중로 209번길 9 / 오산지사 - 경기도 오산시 오산로 160번길 5-6, 2층 / 용인지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로97 경인미래신문은 청소년 유해 환경을 지양하고 윤리강령을 준수하며 독자와 취재원 등 권리를 위해 반론이나 정정 보도를 요청할 수 있고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는 바, 허가없이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KIFUTURE. All rights reserved.